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분류
| 출시일 | ||
2019년 1월 25일 | ||
| 처음 등장하는 패턴 | ||
사각형 | ||
| 분류 | ||
세트 레벨, 세트1 | ||
| 튜토리얼 개수 | ||
4개 | ||
| 해금 조건 | ||
1~5번째 세계 클리어 | ||
| 관련 도전 과제 | | 클리어 시 해금 행성 색상 | |
● 어두운 회색 (#323232) ● 흰색 (#FFFFFF) |
1. 개요[편집]
A Dance of Fire and Ice의 공식 레벨 중 세트1의 여섯번째 레벨인 6번째 세계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특징[편집]
세트1의 마지막 세계이다.[1]
이전의 1~3번째 세계의 패턴 종합판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얼불춤에서 상하좌우의 짧은 타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복잡한 길을 가진 정규 세계이다.
5번째 세계의 메인 레벨에 수록된 곡과 같이 이번 세계의 메인 레벨에 수록된 곡 또한 변박이 등장하는데 대놓고 튜토리얼의 이름에도 들어가 있을 정도로 5번째 세계에 비해 자주 등장한다.
이전에 데모 버전의 배경으로 등장했던 오디오 스펙트럼 모양의 애니메이션 배경이 중반부까지 이어지다가 후반부에 불과 얼음의 행성이 부딪혀서 마치 실제 펄스의 모양을 이루는 것과 같은 배경으로 전환이 된다.
이전의 1~3번째 세계의 패턴 종합판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얼불춤에서 상하좌우의 짧은 타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복잡한 길을 가진 정규 세계이다.
5번째 세계의 메인 레벨에 수록된 곡과 같이 이번 세계의 메인 레벨에 수록된 곡 또한 변박이 등장하는데 대놓고 튜토리얼의 이름에도 들어가 있을 정도로 5번째 세계에 비해 자주 등장한다.
이전에 데모 버전의 배경으로 등장했던 오디오 스펙트럼 모양의 애니메이션 배경이 중반부까지 이어지다가 후반부에 불과 얼음의 행성이 부딪혀서 마치 실제 펄스의 모양을 이루는 것과 같은 배경으로 전환이 된다.
3. 튜토리얼[편집]
3.1. 6-1 행운을 빕니다[편집]
6-1 행운을 빕니다 Good Luck | ||||
BPM | 140 | |||
타일 수 | 17 | |||
배우는 패턴 | 아래로 향하는 꼬인 길 |
안쪽 유턴 후 바로 엇박으로 들어가는 2번째와 3번째 세계의 복합 패턴이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3.2. 6-2 반대로 꼬아봅시다[편집]
6-2 반대로 꼬아봅시다 Inverse Kinks | ||||
BPM | 140 | |||
타일 수 | 17 | |||
배우는 패턴 | 유턴하는 꼬인 길 |
안쪽 유턴 후 바로 엇박으로 들어가는 것은 직전 튜토리얼과 같으나, 엇박에 들어가기 전에 한 박자의 텀이 생겼다.
역시 2번째와 3번째 세계의 복합 패턴이다.
참고로 이 패턴은 진행 방향을 바꾸는 길의 형태라 메인 레벨 진행 중에 딱 한 번밖에 등장하지 않는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역시 2번째와 3번째 세계의 복합 패턴이다.
참고로 이 패턴은 진행 방향을 바꾸는 길의 형태라 메인 레벨 진행 중에 딱 한 번밖에 등장하지 않는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3.3. 6-3 변박자와 즐거운 한때[편집]
6-3 변박자와 즐거운 한때 Fun with Irregular Time | ||||
BPM | 140 | |||
타일 수 | 22 | |||
배우는 패턴 | 위로 향하는 꼬인 길 |
직전 튜토리얼과 같이 안쪽 유턴 후 엇박에 들어가기 전에 한 박자의 텀이 있다.
역시 2번째와 3번째 세계의 복합 패턴이다.
참고로 이 패턴은 첫 번째 튜토리얼의 꼬인 길에서 엇박의 타일 하나를 빼고 엇박의 방향을 반전하면 정확히 같은 모양이 된다.
가장 자주 나오는 패턴임에도 '변박자'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적인 4/4박자가 아닌 7/4박자에서 진행되는 패턴이라 박자 감각을 미리 잡아 놓지 않으면 헷갈릴 수 있는 패턴이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역시 2번째와 3번째 세계의 복합 패턴이다.
참고로 이 패턴은 첫 번째 튜토리얼의 꼬인 길에서 엇박의 타일 하나를 빼고 엇박의 방향을 반전하면 정확히 같은 모양이 된다.
가장 자주 나오는 패턴임에도 '변박자'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적인 4/4박자가 아닌 7/4박자에서 진행되는 패턴이라 박자 감각을 미리 잡아 놓지 않으면 헷갈릴 수 있는 패턴이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3.4. 6-4 구불구불의 재림[편집]
6-4 구불구불의 재림 SSSSSS Returns | ||||
BPM | 165 | |||
타일 수 | 35 | |||
배우는 패턴 | 구불구불과 엇박의 조합 |
패턴 모양도 이름도 3번째 세계의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구불구불 패턴을 따온 것이 맞다.
다만, //변박 패턴// 이후 두 번째 구불구불에서는 노래의 강조박이 엇박이라는 차이가 있다. 즉, 강조박을 따라가면 아래의 박자표와 같이 진행은 이전의 구불구불 길의 방향과 같지만, 실제 박자는 아래로 진행하는 구불구불의 박자로 들리게 된다.그런데 정작 메인 레벨에서는 이런 차이가 없다. 어째서 튜토리얼 곡을 이렇게 헷갈리게 넣은 건지는 의문투성이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다만, //변박 패턴// 이후 두 번째 구불구불에서는 노래의 강조박이 엇박이라는 차이가 있다. 즉, 강조박을 따라가면 아래의 박자표와 같이 진행은 이전의 구불구불 길의 방향과 같지만, 실제 박자는 아래로 진행하는 구불구불의 박자로 들리게 된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4. 6-X PULSE[편집]
6번째 세계의 메인 레벨이다.
이전의 1~3번째 세계의 패턴들을 전부 섞어 놓은 듯한 메인 레벨의 길 디자인은 얼핏 보면 복잡해 보여도 그렇게 어려워 보이지는 않을 수 있지만, 문제는 노래 곳곳에 밥 먹듯이 튀어나오는 변박이 요주의 요소이다.
게다가 중반부터는 노래의 애매한 멜로디와 드럼 박자, 돌아가는 카메라, 2분이 넘어가는 길이의 상대적으로 긴 노래의 시너지가 합쳐져서 초심자에게는 상당한 압박으로 들어온다.
BPM 또한 175로 결코 느리지 않은 속도에 엇박과 4/4-7/4 변박이 주기적으로 몰아치는 메인 레벨은 이전의 5개의 세계에 비해 더욱 어려운 난이도로 초심자들에게 지옥을 선사한다.
실제로 이 세계는 정규 레벨 세트1의 최종보스 느낌으로 디자인 된 세계로, 실제 스팀 도전 과제 통계에서도 1~5번째 세계의 도전 과제 달성률과 6번째 세계의 도전 과제 달성률을 비교해보면 6번째 세계가 앞선 세계들에 비해 플레이어들에게 얼마나 어려운지 대충이나마 확인할 수 있다.
이전의 1~3번째 세계의 패턴들을 전부 섞어 놓은 듯한 메인 레벨의 길 디자인은 얼핏 보면 복잡해 보여도 그렇게 어려워 보이지는 않을 수 있지만, 문제는 노래 곳곳에 밥 먹듯이 튀어나오는 변박이 요주의 요소이다.
게다가 중반부터는 노래의 애매한 멜로디와 드럼 박자, 돌아가는 카메라, 2분이 넘어가는 길이의 상대적으로 긴 노래의 시너지가 합쳐져서 초심자에게는 상당한 압박으로 들어온다.
BPM 또한 175로 결코 느리지 않은 속도에 엇박과 4/4-7/4 변박이 주기적으로 몰아치는 메인 레벨은 이전의 5개의 세계에 비해 더욱 어려운 난이도로 초심자들에게 지옥을 선사한다.
실제로 이 세계는 정규 레벨 세트1의 최종보스 느낌으로 디자인 된 세계로, 실제 스팀 도전 과제 통계에서도 1~5번째 세계의 도전 과제 달성률과 6번째 세계의 도전 과제 달성률을 비교해보면 6번째 세계가 앞선 세계들에 비해 플레이어들에게 얼마나 어려운지 대충이나마 확인할 수 있다.
5. 여담[편집]
- 처음에 이 세계가 출시되었을 당시에는 불과 얼음의 기본 행성 색상이 서로 바뀌어 있었다가 나중에 정상적으로 수정되었다.
모든 문서는 CC BY-NC-SA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